본 글은 1975년 3월, 일본출판사 츄오코론샤中央公論社에서 신서본新書本으로 간행한 故 쿄고쿠 쥰이치 교수님과 영화평론가 사토 타다오 님{이 분의 책 중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로는《소년병, 평화의 길을 열다》,《한국영화와 임권택》(절판),《일본영화 이야기》(절판)등이 있습니다.} 의 대담집인《학교와 세상 - 진학문명을 뛰어넘는 것》(中公新書 388) 제 1장 <교육의 의미> 에 수록된【 학교체계와의 결별 】부분(p. 3 ~ 7)을 번역한 것입니다. 일단은 몇 년 전에 미리 번역해 놓았던 (그리고 헌책이었기 때문인지 책심도 박살난....) 1장만 포스트로 올릴 예정입니다.
쿄고쿠 쥰이치(京極純一, 1924 ~ 2016)
1924년(타이쇼 13년) 쿄토 출생. 1947년에 토쿄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 현재(1975년) 토쿄대학 법학부 교수. 정치과정론 전공.
사토 타다오(佐藤忠男, 1930~)
1930년(쇼와 5년) 니가타 시 출생. 1957~1962년 사이에《영화평론》,《사상의 과학》등의 편집에 종사한 후, 프리랜서로서 영화 / 교육 / 대중문화 분야 평론을 해 왔다. 1973년부터 개인잡지인《영화사 연구》를 간행중.
학교체계와의 결별
쿄고쿠 : 사토 씨께선 영화연구의 대가로서 유명하시며, TV 평론도 하시지요. 일본사상사 연구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많이 남기셨고, 교육평론 관련 저서도 몇 권이나 내셨죠. 오늘은 교육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으니, 우선 사토 씨는 교육과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란 점부터.
사토 : 저는 제 자신이 교육제도 속에서 손해를 봤다고 계속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교육과 관련한 평론을 쓰게 된 동기도, 바로 그러한 점에 있지요. 제가 교육제도 속에서 손해를 본 최초의 사건은 중학교 입학 시험 때의 일입니다.
당시는 (태평양) 전쟁 중이었는데, 입학시험 첫째날 커다란 번호표를 가슴에 단 수혐생들을 도열시킨 후 갑자기 교장이 교단에 올라와, 인사조차 하지 않고서 뜬금없이 메이지 텐노明治天皇가 지은 시문御製을 세 편 정도 낭독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기이하게 생각하면서도 '메이지 텐노의 시문을 낭독한 이상, 나중에 이것이 시험문제로 나오겠구나.' 하고 굳게 믿으며 이 시를 암기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저는 이 시험에 낙방했지요. 낙방한 데 대해 토를 달진 않았지만, 너무나 이상했어요. 저보다 성적이 상당히 떨어지는 애들도 합격했는데...
다음 해, 다시 한 번 그 중학교에 응시하기 위해 고등소학교 보습수업補習授業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 중에 내부사정에 정통한 선생님이 한 분 계셨는데, 수험의 베테랑이었죠. 그 선생님은 "그 중학교에 응시를 하면 느닷없이 교장이 메이지 텐노의 시문을 낭독하는데, 그 때 고개를 숙이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 고 코치하셨습니다. "그것을 시험문제로 착각하여 필사적으로 암기하려던 나머지, 고개를 숙이는 것을 잊어버리는 얼간이가 (매 해마다) 반드시 몇 명씩 나온다...." 고.
제가 미끼에 낚였다는 걸 그 때 처음 알았습니다. 그건 텐노 제도天皇制度 비판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일이었죠. 그저 제가 조금 얼빠진 녀석이었던 데 불과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굴욕감을 느낀 나머지, 제 얼굴이 파랗게 물들었다는 걸 자각할 정도로 분통이 터졌습니다. 훗날이 되서야 알게 된 단어를 빌린다면 '인권침해적 모욕' 이 아니었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걸로 진학을 거부하는 건 불합리하지 않은가....
그래서 저는 '그 중학교에 진학하는 것보단, 해군에 입대하여 소년병이 되는 게 더 멋있겠다.' 고 생각하고 그 쪽에 달려들었습니다. '그 교장은 국수주의자國粹主義者를 자처하는 만큼, 내심 여봐란 듯이 그 위에 서기 위해선 군인이 되어야 한다.' 이는 비약이 지나친 것 같지만, 그 시대를 살던 아이들의 마음을 아는 사람들은 이해를 하리라 생각합니다. 그 시대의 대학생이었다면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나, 당시《쇼넨쿠라부(少年俱樂部, 역주 : 소년 클럽. 당시 일본의 유명한 소년용 잡지)》을 애독하던 13 ~ 14세 나이의 아이들이라면 그러한 기분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하여 저는 소년병으로 입대하기 위해, 진학코스에서 이탈해버렸지요.
기묘한 운명의 장난처럼 그렇게 되어버렸는데, 훗날이 되어 생각해보니 누구에게도 불평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교장이 밉다는 생각이 든다고 해서 여봐란듯이 소년병이 되어버린 저 자신도 꽤나 어리숙한 애였다.' 는 생각이 들고, 어떤 집착을 가지게 되었죠. 그 이후론 묘하게 외고집이 생겼고, 학교제도에선 왠지 모르게 낙오한 형국이 되었습니다.
그 후에는 공장에서 일하면서 논문을 집필하고 잡지에 투고하여 영화비평을 하면서, 슬슬 먹고 살 수 있게 될 무렵에《사상의 과학思想の科學》의 츠루미 슌스케鶴見俊輔 씨 등에게서 영향을 받아, '영화라는 걸 전체적 문화 속에서 파악해 보자.' 는 야심을 갖게 되었지요. '영화가 인간과 인간을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 중 하나라면, 교육은 더욱더 거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고, 대중잡지도 거대한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일환으로써 영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해보자.' 는 장대한 야심이 생겨났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뚝딱 그러한 체계를 만들어낼 수는 없었던데다, 원래 제가 하던 영화비평도 개인적인 경험, 개인적인 감각을 통하여 이를 파악하는 방식에 기반했으므로, 개인적으로 제가 받아온 교육을 떠올리며 제가 읽어왔던 대중잡지에 대해 기고해보려 했습니다.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던 사건 때문에 학교에 대한 원한이 뿌리 깊게 남아 있었으므로, '나는 제도교육과 척을 졌다.' 는 발상을 언제나 하고 있었어요. 그렇기에 우선, "내게 있어서 학교는 아무 것도 아니었다. 그보다는《쇼넨쿠라부》같은 아동잡지 쪽이 보다 커다란 교육기관이었다." 는 식의. 그렇게까지 이야기하면 극언이나 다름없지 않을까 생각하면서도 감연히 그러한 입장에 입각하여 논문 한 편을 기고하자, 의외로 커다란 반향이 왔기에 저도 놀랐습니다. 그 논문 한 편에 의해 저는 교육평론가가 되어버렸지요. 생각해보면 제가 교육학이라든가, 학교제도 같은 데 대해서 전문적으로는 아무 것도 겪지 못했기에 오로지 "어느 수준 이상의 학교교육은 내게는 필요없어." 라는 주장을 계속 해올 수 있었던 거겠죠.
쿄고쿠 : 제 경험을 통해 반추해보면, 쇼와 15년(1940) 여름 이후, 특히 태평양전쟁(역주 : 원문은 大東亞戰爭) 개전 이후엔 일본의 학교체계는 이상한 제도와 이상한 선생님들에 의해 운용되었습니다. 그 이전 시기의 학교와 태평양전쟁 시기의 학교는 대단히 차이가 났습니다. 이상상태의 병폐에 맞닥뜨리신 건 정말로 불운이셨군요...
사토 : 그러나 그 정도로 이상하였다는 것 자체를, 저는 몇 번이라도 좋으니 기록으로 남기고 싶네요.
쿄고쿠 : 어째서 학교의 선생님들이, 그리고 제도로서의 학교가 이상해졌는가? 하고 묻는다면, 한편으로는 교육, 특히 학교란 곳이 정치적인 사람들에겐 '태도를 드러내기姿勢を示す' 걸맞은 장소이기 떄문입니다. 오늘날에도 어른들을 상대로 정당 측에서 가치척도를 제시하기 위해 교육을 주무르고 있지요. 일교조(日教組, 역주 : 한국의 전교조全敎組와 유사한 일본 혁신계열 교직원들의 조합집단. 물론 일교조 쪽 역사가 훨씬 오래되었다.)를 둘러싼 여러 문제를 봐도, 그들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 자체와 씨름하기보다는 "우리 당은 일본의 진로에 대해서 이렇게 생각하고 있다." 는 태도를 드러내는 측면이 강합니다.
특히 전쟁이 터진 이후, 전쟁체제에 임하는 태도를 일본식으로 드러내는 장소로써 교육, 학교들이 이용되었습니다. "영어는 적성어다." 면서 영어교육의 비중을 줄이는 등, 갖가지 유명한 사례가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전시체제의 분위기 속에서 학교 선생들은 허업(虛業, 역주 : 헛일, 실속이 없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는 이유로 사회로부터, 그리고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공격받기 쉽고, 방어하기엔 어려운 입장에 있었습니다. 공장에서 전투기나 소총을 만드는 직업을 지닌 사람이라면 "나는 이 총을 만들고 있다!" 고 말하며 충군애국忠君愛國을 한다는 증거를 '유형의 물건' 으로 내보일 수 있지만, 선생은 '유형의 물건' 을 제출할 수 없는 만큼, 사회와 자신의 내면을 향해 증명을 하지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성격에 따라서는, 히스테리에 빠진 모친이 아이들을 다루듯이 히스테리적 언어를 마구 퍼뜨리고 히스테리적 행동을 하면서, 아동과 생도들을 상대로 자기 자신을 증명하려 했던 것입니다.
덧글